유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柳, 劉, 兪, 庾)는 한국의 성씨로, 각 한자의 발음은 다르지만 두음법칙에 따라 '유'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류(柳)씨는 2015년 대한민국에서 19번째로 많은 성씨로, 문화, 전주 등 130여 본관이 존재한다. 유(劉)씨는 30위로 충주, 강릉 등 47본관이 있으며, 유(兪)씨는 46위로 기계, 무안 등 98본, 유(庾)씨는 101위로 평산, 무송 2본이 있다. 류(柳)씨는 2007년부터 공문서에서 '류' 표기가 허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 (성씨) | |
|---|---|
| 성씨 정보 | |
| 한글 | 유 또는 류 |
| 한자 | 柳 劉 兪 余 庾 |
| 로마자 표기 | Yu 또는 Ryu |
| 음운 현상 | |
| 두음 법칙 | 유 |
2. 류(柳)씨
류(柳)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642,693명(류 163,703명 + 유 478,990명)으로 조사되어, 대한민국 성씨 인구 19위이다. 본관은 문화(文化), 전주(全州), 진주(晉州), 고흥(高興), 서산(瑞山), 풍산(豊山), 영광(靈光), 선산(善山), 정주(貞州) 등 130여 본이 전한다.
전주 류씨는 578년 백제 위덕왕의 요청으로 사천왕사(四天王寺)를 건축하러 일본으로 건너간 류중광(柳重光)의 기록이 있으며, 그는 본관이 전주(全州)다.[3] 류방헌(柳邦憲) 묘지명에는 증조부가 통일신라 때 각간(角干)을 지낸 류기휴(柳基休)이고, 할아버지 류법반(柳法攀)이 후백제의 우좌군(右將軍)을 역임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4] 따라서 전주류씨는 백제 때 창성(創姓)된 성씨다.[5]
정주 류씨는 삼중대광(三重大匡) 류천궁(柳天弓)의 딸이 고려 태조의 제1비 신혜왕후이다.[6]
문화 류씨 시조 류차달(柳車達)은 고려 태조 때 군량 수송에 공을 세워 대승(大丞)에 제수되고 삼한공신(三韓功臣)의 호를 받았다.
고흥 류씨 시조 류영(柳英)은 고려 문종 때 호장(戶長)을 지냈으며, 7세손 류청신(柳淸臣)이 고이부곡(高伊部曲) 출신으로 1310년(충선왕 2) 정승에 임명되고 고흥부원군(高興府院君)에 봉해졌다.
진주 류씨는 류정(柳挺)을 시조로 하는 토류계(土柳系)와 류차달(柳車達)의 9대손 류인비(柳仁庇)를 시조로 하는 이류계(移柳系)의 서로 다른 두 계통이 있다.
서산 류씨 시조 류공기(柳公器)는 고려조에 관직이 합문지후(閤門祗候)에 이르렀다.
풍산 류씨 시조 류절(柳節)은 수주(樹州 : 경기도 부평)에서 호장(戶長)을 지냈다고 한다.
영광 류씨 시조 류언(柳漹)의 아들 류두명(柳斗明)이 조선 초기 나주목사를 거쳐 대언(代言)을 지냈고, 손자 류규(柳規)가 1426년(세종 8) 무과에 급제하였다.
2. 1. 개요
2. 2. 역사
류(柳)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642,693명(류 163,703명 + 유 478,990명)으로 조사되어, 대한민국 성씨 인구 19위이다. 본관은 문화(文化), 전주(全州), 진주(晉州), 고흥(高興), 서산(瑞山), 풍산(豊山), 영광(靈光), 선산(善山), 정주(貞州) 등 130여 본이 전한다.전주 류씨(全州 柳氏)에 관한 기록으로 578년(백제 위덕왕 34) 성덕태자(聖德太子)의 요청으로 사천왕사(四天王寺)를 건축하러 백제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류중광(柳重光)은 본관이 전주(全州)다. 전주 승화현(承化縣) 출신의 류방헌(柳邦憲, 944년 ~ 1009년)이 972년(고려 광종 23년) 과거에 급제하여 1009년(현종 즉위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에 이르렀다.[3] 전주인(全州人) 류방헌(柳邦憲) 묘지명(墓誌銘)에는 증조부가 통일신라 때 각간(角干)을 지낸 류기휴(柳基休)이고, 할아버지 류법반(柳法攀)이 후백제의 우좌군(右將軍)을 역임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4] 따라서 전주류씨는 백제 때 창성(創姓)된 성씨다.[5]
정주 류씨 (貞州 柳氏)는 삼중대광(三重大匡) 류천궁(柳天弓)의 딸이 고려 태조의 제1비 신혜왕후이다.[6] 시중(侍中) 류덕영(柳德英)의 딸은 고려 태조 제6비 정덕왕후(貞德王后)이다.
문화 류씨 (文化 柳氏) 시조 류차달(柳車達)은 고려 태조 때 군량 수송에 공을 세워 대승(大丞)에 제수되고 삼한공신(三韓功臣)의 호를 받았다.
고흥 류씨 (高興 柳氏) 시조 류영(柳英)은 고려 문종 때 호장(戶長)을 지냈다. 류영의 7세손 류청신(柳淸臣)이 고이부곡(高伊部曲) 출신으로 1310년(충선왕 2) 정승에 임명되고 고흥부원군(高興府院君)에 봉해졌다.
진주 류씨 (晉州 柳氏)는 류정(柳挺)을 시조로 하는 토류계(土柳系)와 류차달(柳車達)의 9대손 류인비(柳仁庇)를 시조로 하는 이류계(移柳系)의 서로 다른 두 계통이 있다.
서산 류씨 (瑞山 柳氏) 시조 류공기(柳公器)는 고려조에 관직이 합문지후(閤門祗候)에 이르렀다.
풍산 류씨 (豊山 柳氏) 시조 류절(柳節)은 수주(樹州 : 경기도 부평)에서 호장(戶長)을 지냈다고 한다. 류성룡(柳成龍)이 영의정에 오르고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해졌다.
영광 류씨 (靈光 柳氏) 시조 류언(柳漹)의 아들 류두명(柳斗明)이 조선 초기 나주목사를 거쳐 대언(代言)을 지냈고, 손자 류규(柳規)가 1426년(세종 8) 무과에 급제하였다. 류규(柳規)의 서자인 류자광(柳子光)이 연산군 때 무오사화를 주도하였고, 정국공신(靖國功臣) 1등으로 무령부원군(武靈府院君)에 봉해졌다.
한국에서 유(柳)씨는 하나라, 한나라, 그리고 조선 왕조까지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간다. 유(柳)씨 성을 가진 사람들은 자선과 근면함으로 명성이 높았다.
가장 큰 류(柳)씨는 유(柳)씨와는 다른 씨족이지만, 발음이 다르며 문하 류(文化 柳)씨[2]는 차달(Ryoo Cha-dal)이라는 사람에 의해 창시되었다. 차달의 5대조 할아버지는 신라 왕을 전복하려는 시도에 연루되었다. 처벌을 피하기 위해 그 조상은 문화(文化)로 도망쳐 성을 바꾸었는데, 처음에는 외할머니의 성인 양(楊)씨로, 그 다음에는 류(柳)씨로 바꾸었다. 수년 후, 차달은 왕건을 도와 고려를 건국하는 것을 도왔다. 차달은 그의 지원으로 인정받아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았다. 그러나 차(車)씨가 류차달과 동일한 시조에서 유래되었다는 역사적 주장은 입증되지 않았다. 문하 류(文化 柳)씨는 안동 권(安東 權)씨와 함께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씨족 족보 중 하나를 소유하고 있다. "류(柳)"라는 성은 버드나무를 의미하는 한자에서 유래되었다.
2. 3. 주요 본관
류(柳)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642,693명(류 163,703명 + 유 478,990명)으로 조사되어, 대한민국 성씨 인구 19위이다. 본관은 문화(文化), 전주(全州), 진주(晉州), 고흥(高興), 서산(瑞山), 풍산(豊山), 영광(靈光), 선산(善山), 정주(貞州) 등 130여 본이 전한다.[3][4][5]전주 류씨는 578년 백제 위덕왕의 요청으로 사천왕사(四天王寺)를 건축하러 일본으로 건너간 류중광(柳重光)을 시조로 보기도 한다. 고려시대에는 류방헌(柳邦憲)이 972년(고려 광종 23년) 과거에 급제하여 1009년(현종 즉위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에 이르렀다.
정주 류씨는 고려 태조의 제1비 신혜왕후와 제6비 정덕왕후의 본관이다. 중시조 류소(柳韶)가 고려 덕종 때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가 되었다.
문화 류씨 시조 류차달은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대승(大丞)에 제수되고 삼한공신(三韓功臣)의 호를 받았다. 7세손 류공권(柳公權)은 고려 의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명종 때 정당문학(政堂文學)·참지정사(叅知政事)에 이르렀다.
고흥 류씨 시조 류영(柳英)은 고려 문종 때 호장(戶長)을 지냈다. 류영의 7세손 류청신(柳淸臣)은 1310년(충선왕 2) 정승에 임명되고 고흥부원군(高興府院君)에 봉해졌다.
진주 류씨는 류정(柳挺)을 시조로 하는 토류계(土柳系)와 류차달의 9대손 류인비(柳仁庇)를 시조로 하는 이류계(移柳系)로 나뉜다.
서산 류씨 시조 류공기(柳公器)는 고려조에 합문지후(閤門祗候)에 이르렀으며, 사후에 증손 류숙(柳淑)이 귀해지자 높은 벼슬에 추증되었다.
풍산 류씨 시조 류절(柳節)은 수주(樹州)에서 호장(戶長)을 지냈다고 한다. 류성룡이 영의정에 오르고 풍원부원군(豊原府院君)에 봉해졌다.
영광 류씨 시조 류언(柳漹)의 손자 류규(柳規)가 1426년(세종 8) 무과에 급제하였다. 류규의 아들 류자환(柳子煥)은 계유정난 때 공을 세웠고, 서자인 류자광(柳子光)은 연산군 때 무오사화를 주도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 1등으로 무령부원군(武靈府院君)에 봉해졌다.
2. 4. 현대 인물
류(柳)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642,693명(류 163,703명 + 유 478,990명)으로 조사되어, 대한민국 성씨 인구 19위이다. 문화, 전주, 진주, 고흥, 서산, 풍산, 영광, 선산, 정주 등 130여 본이 전한다.- 전주 류씨: 578년 백제 위덕왕의 요청으로 일본에 사천왕사를 건축하러 간 류중광은 본관이 전주다. 고려 현종 때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낸 류방헌의 묘지명에는 증조부가 통일신라 때 각간을 지낸 류기휴이고, 할아버지가 후백제의 우좌군을 역임한 류법반으로 기록되어 백제 때 창성된 성씨임을 알 수 있다. 2015년 인구는 78,690명이다.
- 정주 류씨: 고려 태조의 제1비 신혜왕후는 삼중대광 류천궁의 딸이다. 중시조 류소는 고려 덕종 때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냈다. 2015년 인구는 15명이다.
- 문화 류씨: 시조 류차달은 고려 태조 때 군량 수송에 공을 세워 대승에 제수되고 삼한공신의 호를 받았다. 7세손 류공권은 고려 명종 때 정당문학·참지정사에 이르렀다. 2015년 인구는 327,624명이다.
- 고흥 류씨: 시조 류영은 고려 문종 때 호장을 지냈다. 7세손 류청신은 1310년(충선왕 2) 정승에 임명되고 고흥부원군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73,329명이다.
- 진주 류씨: 류정을 시조로 하는 토류계와 류차달의 9대손 류인비를 시조로 하는 이류계의 두 계통이 있다. 2000년 인구는 60,104명이다.
- 서산 류씨: 시조 류공기는 고려조에 합문지후를 지냈고, 증손 류숙이 귀해지자 도첨의찬성사 등에 추증되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9명을 배출했다. 2000년 인구는 14,827명이다.
- 풍산 류씨: 시조 류절은 수주에서 호장을 지냈다. 증손 류백이 고려 충렬왕 때 은사로 급제했고, 7세 류종혜가 공조전서를 역임하고 하회동에 정착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2명을 배출했다. 13세손 류성룡은 영의정에 오르고 풍원부원군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13,341명이다.
- 영광 류씨: 시조 류언의 아들 류두명이 조선 초기 나주목사를 거쳐 대언을 지냈고, 손자 류규가 1426년(세종 8) 무과에 급제했다. 류규의 아들 류자환은 계유정난 때 정난공신 3등에 올랐고, 서자인 류자광은 연산군 때 무오사화를 주도하여 정국공신 1등에 올랐다. 2000년 인구는 1,475명이다.
- 유차달 (880–?), 문화 유씨 시조
- 문혜왕후, 고려 공주
- 대명부인, 고려 왕족
- 유성원 (?–1456), 조선 초기 문신
- 유응부 (?–1456), 조선 초기 무신
- 류성룡 (1542–1607), 조선 문신
- 문화부대부인, 한국 왕족
- 유형원 (1622–1673), 한국 철학자
- 유상 (1643–1723), 조선 왕실 의관, 정치가
- 유득공 (1749–1807), 조선 시대 학자
- 유길준 (1856–1914), 한국 정치인
- 유근형 (1894–1993), 한국 도예가
- 일한 뉴 (1895–1971), 한국 독립운동가, 기업가
- 유관순 (1902–1920), 한국 독립운동가
- 애런 유 (Aaron Yoo, 1979년 출생), 미국 배우
- 유아라 (1992년 출생), 배우, 가수, 헬로비너스 전 멤버
- 유병재 (1988년 출생), 방송인, 배우, 작가
- 유채영 (1973–2014), 배우, 가수, 라디오 진행자
- 유찬욱 (예명 비오, 2000년 출생), 래퍼, 작곡가
- 크리스틴 유 (Christine Yoo), 미국 작가, 감독, 프로듀서, 영화 제작자
- 유다인 (1984년 출생), 배우
- 유동근 (1956년 출생), 배우
- 유은미 (2004년 출생), 배우
- 유은숙, 성우
- 유건형 (1979년 출생), 음반 프로듀서
- 유하나 (1986년 출생), 배우
- 유해진 (1970년 출생), 배우
- 유해정 (2000년 출생), 배우
- 유희재 (1994년 출생), 가수, 배우
- 유호정 (1969년 출생), 배우
- 유회승 (1995년 출생), 가수, 뮤지컬 배우, 엔플라잉 멤버
- 유혜리 (1964년 출생), 배우
- 유현영 (1976년 출생), 연예인
- 유인나 (1982년 출생), 배우
- 유인수 (1998년 출생), 배우
- 유인영 (1984년 출생), 배우
- 유재하 (1962–1987), 싱어송라이터
- 유재석 (1972년 출생), 코미디언, MC, 방송인
- 유정연 (1996년 출생), 가수, 트와이스 멤버
- 유제원, 텔레비전 드라마 연출가
- 유제윤 (1984년 출생), 배우, 모델, 가수
- 유지태 (1976년 출생), 배우, 영화 감독, 작가
- 유준상 (1969년 출생), 배우, 가수
- 유정현 (1967년 출생), 방송인, 정치인
- 유기현 (1993년 출생), 가수, 몬스타엑스 멤버
- 유민규 (1987년 출생), 배우
- 유나얼 (예명 나얼, 1978년 출생), 가수
- 유세형 (1992년 출생), 배우
- 유세례 (1984년 출생), 배우
- 유세윤 (1980년 출생), 코미디언, 텔레비전 코미디 쇼 진행자
- 유선호 (2002년 출생), 가수, 배우, 모델
- 유승호 (1993년 출생), 배우
- 유승준 (1976년 출생), 미국 가수, 래퍼, 배우
- 유승우 (1997년 출생), 음악가
- 유승연 (예명 공승연, 1993년 출생), 배우
- 유소영 (1986년 출생), 배우
- 유수빈 (1992년 출생), 배우
- 우성은 (본명 유성은, 1989년 출생), 가수
- 유연주 (예명 유아, 1995년 출생), 가수, 오마이걸 멤버
- 유연정 (1999년 출생), 가수, 우주소녀 멤버
- 유연미 (1999년 출생), 배우
- 유연수 (예명 하연수, 1990년 출생), 배우
- 유영재 (1994년 출생), 가수, 배우, B.A.P 멤버
- 유영진 (1971년 출생), 싱어송라이터, 음반 프로듀서
- 유희열 (1971년 출생), 싱어송라이터
- 크리스찬 유 (예명 DPR Ian, 1990년 출생), 호주 가수, 래퍼
- 유지민 (예명 카리나, 2000년 출생), 가수, 에스파 멤버
- 유오성 (1966년 출생), 배우
- 류승범 (1980년 출생), 배우
- 류승완 (1973년 출생), 감독
- 류덕환 (1987년 출생), 배우
- 류한비 (2004년 출생), 배우
- 류화영 (1993년 출생), 배우, 가수, 티아라 전 멤버
- 류혜린 (1984년 출생), 배우, 모델
- 류혜영 (1991년 출생), 배우, 모델
- 류효영 (1993년 출생), 배우, 모델, 래퍼, 파이브돌스 전 멤버
- 류현경 (1983년 출생), 배우
- 류준열 (1986년 출생), 배우
- 류경수 (1992년 출생), 배우
- 류상구 (예명 딥플로우, 1984년 출생), 래퍼, 음악 프로듀서
- 류세라 (1987년 출생), 가수, 나인뮤지스 전 멤버
- 류승룡 (1970년 출생), 배우
- 류승수 (1971년 출생), 배우
- 류시원 (1972년 출생), 배우, 가수
- 류수영 (1979년 출생), 배우
- 류수정 (1997년 출생), 가수, 러블리즈 멤버
- 류성민 (예명 씨잼, 1993년 출생), 래퍼
- 류태준 (1971년 출생), 배우, 가수
- 류의현 (1999년 출생), 배우
- 유영호 (1965년 출생), 조각가
- 유영국 (1916–2002), 화가
- 유에스더 (1994년 출생), 미국 바이올리니스트
- 유스캇 (1971년 출생), 미국 지휘자, 바이올리니스트
- 유영욱 (1977년 출생), 피아니스트
- 유안진 (1941년 출생), 시인, 수필가, 대학교수
- 데이비드 유 (1974년 출생), 미국의 작가
- 유은실, 작가
- 유현종, 소설가
- 유자효 (1947년 출생), 방송인, 시인
- 유재용 (1936–2009), 소설가
- 유주현 (1921–1982), 소설가
- 유미리 (1968년 출생), 재일 한국인 극작가, 소설가, 수필가
- 유태은, 그림책 작가, 삽화가
- 유영 (1917–2002), 문학 평론가, 번역가, 시인
- 유병훈 (1972년 출생), 장애인 선수
- 유병옥 (1964년 출생), 축구 선수
- 유병수 (1988년 출생), 축구 선수
- 유채란 (1992년 출생), 배드민턴 선수
- 유창현 (1985년 출생), 축구 선수
- 유대현 (1990년 출생), 축구 선수
- 유대순 (1965년 출생), 前 축구 선수
- 대니얼 유(Daniel Yoo) (1985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前 테니스 선수
- 유동관 (1963년 출생), 前 축구 선수
- 유동민 (1989년 출생), 축구 선수
- 유한준 (1981년 출생), 前 외야수
- 유희관 (1986년 출생), 선발 투수
- 유호준 (1985년 출생), 축구 선수
- 유홍열 (1983년 출생), 축구 선수
- 유혜민 (1981년 출생), 알파인 스키 선수
- 유혁근 (1944년 출생), 조정 선수
- 유형종 (1985년 출생), 축구 선수
- 유현 (1984년 출생), 축구 선수
- 유현구 (1983년 출생), 축구 선수
- 유현지 (1984년 출생), 핸드볼 선수
- 유재훈 (1984년 출생), 前 프로 축구 선수
- 제프 유(Jeff Yoo) (1978년 출생), 前 축구 선수
- 유진선 (1962년 출생), 前 테니스 선수
- 유지훈 (1988년 출생), 축구 선수
- 유지노 (1989년 출생), 축구 선수
- 유종현 (1988년 출생), 축구 선수
- 유준영 (1990년 출생), 축구 선수
- 유준수 (1988년 출생), 축구 선수
- 유정남 (1983년 출생), 수영 선수
- 유기흥 (1947년 출생), 축구 감독, 前 선수
- 유기홍 (1988년 출생), 前 프로 사이클 선수
- 유광준 (1932년 출생), 前 축구 선수
- 유경열 (1978년 출생), 前 축구 선수
- 유만기 (1988년 출생), 축구 선수
- 유미 (1986년 출생), 前 테니스 선수
- 유민현 (1994년 출생), 컬링 선수
- 유남규 (1968년 출생), 前 탁구 선수
- 유옥렬 (1973년 출생), 前 체조 선수
- 유상철 (1971–2021), 축구 감독, 선수
- 유상희, 前 여자 배드민턴 선수
- 유상수 (1973년 출생), 축구 코치, 은퇴 선수
- 유수현 (1986년 출생), 축구 선수
- 유선희 (1967년 출생), 여자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 유선영 (1986년 출생), 프로 골프 선수
- 유성제 (1985년 출생), 아이스하키 골키퍼
- 유성연 (1976년 출생), 前 유도 선수
- 유원철 (1984년 출생), 체조 선수
- 유원정, 장애인 보치아 선수
- 유원상 (1986년 출생), 야구 선수
- 유욱진 (1985년 출생), 축구 선수
- 유연성 (1986년 출생), 프로 배드민턴 선수
- 유연승 (1991년 출생), 축구 선수
- 유용성 (1974년 출생), 은퇴 배드민턴 선수
- 유윤식 (1989년 출생), 배구 선수
- 유영(You Young) (2004년 출생), 피겨 스케이터
- 유영아 (1988년 출생), 축구 선수
- 유영주 (1971년 출생), 前 농구 선수
- 유영실 (1975년 출생), 은퇴 축구 선수
- 유재두 (1948년 출생), 前 프로 복서
- 류현진 (1987년 출생), 프로 야구 선수
- 류재국 (1983년 출생), 프로 야구 투수
- 류지혜 (1976년 출생), 前 탁구 선수
- 류승민 (1982년 출생), 프로 탁구 선수
- 류승우 (1993년 출생), 축구 선수
- 유소연 (1990년 출생), 프로 골프 선수
- 유창혁 (1966년 출생), 바둑 기사
- 크리스토퍼 유 (2006년 출생), 미국의 체스 그랜드마스터
- 류시훈 (1971년 출생), 재일 한국인 바둑 기사
- 유재학 (1963년 출생), 농구 코치
- 유병언 (1941–2014), 기업인, 발명가, 사진작가
- 유재훈, 기업인
- 유창순 (1918–2010), 정치인
- 유은혜 (1962년 출생), 정치인
- 유일호 (1955년 출생), 정치인
- 유재건 (1937–2022), 정치인
- 유진룡 (1956년 출생), 정치인
- 유정복 (1957년 출생), 공무원, 정치인
- 존 유(John Yoo) (1967년 출생), 한국계 미국 법학자, 전 정치인
- 유정주 (1975년 출생), 정치인, 애니메이터
- 유명희 (1967년 출생), 정치인
- 유남석 (1957년 출생), 전 헌법재판소 재판관
- 유상열 (1940–2022), 공무원
- 유승민 (1958년 출생), 경제학자, 정치인
- 유송화 (1968년 출생), 정치인
- 유인촌 (1951년 출생), 정치인, 배우
- 유시민 (1959년 출생), 정치인
- 다니엘 유(1962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퇴역 미국 해병대 소장
- 유재이(1989년 출생), 모델
- 유예빈(1992년 출생), 미인 대회 우승자
- 유 크리스토퍼, 학자
- 미셸 유, 뉴질랜드 학자
- 리처드 유, 미국 기업가
- 유룡(1955년 출생), 과학자
- 유상준, 탈북자
- 유영철 (1970년 출생), 연쇄 살인범, 성범죄자, 식인범
3. 유(劉)씨
유(劉)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302,782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30위이다. 본관은 충주, 강릉, 거창, 배천, 연안 등 47본이 전한다.
《삼국사기》에 고구려 동천왕 시기에 위나라 관구검(毌丘儉) 침략했을 때 활약한 유옥구가 압록(鴨綠)을 식읍으로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7]
충주 유씨(忠州劉氏) 시조 유긍달의 딸이 고려 태조의 셋째 부인인 신명순성왕후가 되자 유긍달은 태사 내사령(太師 內史令)으로 추증되었다.[8]
거창 유씨(居昌劉氏) 시조 유전은 송나라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와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냈다고 한다. 『을묘보(乙卯譜)』 서문에는 유전이 한태조(漢太祖) 고황제(高皇帝)의 40세손으로 왕안석(王安石)에게 간언하다가 1082년(문종 36) 고려로 들어와 영일군(迎日郡)에 터를 잡았다고 한다. 유견규가 거창군(居昌君)에 봉해져서 본관을 거창으로 했다고 한다.
배천 유씨(白川劉氏) 시조 유국추는 유전의 8세손으로 고려에서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를 지냈다고 하며,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추증되어 배천군(白川君)에 추봉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족보에 앞서 유석의 본관이 백주(白州)로 나타난다.[9]
강릉 유씨(江陵劉氏) 시조 유승비(劉承備)의 증손자인 유창이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개국공신에 책록되어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졌다.[10]
연안 유씨(延安劉氏) 시조 유극량은 과거에 응시할 수 없는 노비 출신이었으나, 홍섬의 배려로 노비 신분을 면제받고, 무과에 급제하였다. 1591년(선조 24) 전라좌수사가 되었고, 조방장(助防將)으로 전임되어 임진왜란 때 활약하였다.
3. 1. 개요
3. 2. 역사
유(劉)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302,782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30위이다. 본관은 충주, 강릉, 거창, 배천, 연안 등 47본이 전한다.[7]《삼국사기》에 고구려 동천왕 시기에 위나라 관구검(毌丘儉)이 침략했을 때 활약한 유옥구가 압록(鴨綠)을 식읍으로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7]
충주 유씨(忠州劉氏) 시조 유긍달의 딸은 고려 태조의 셋째 부인인 신명순성왕후이다. 유긍달은 태사 내사령(太師 內史令)으로 추증되었다.[8]
거창 유씨(居昌劉氏) 시조 유전은 송나라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와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냈다고 한다. 『을묘보(乙卯譜)』 서문에 따르면 유전은 한태조(漢太祖) 고황제(高皇帝)의 40세손으로 왕안석(王安石)에게 간언하다가 1082년(문종 36) 고려로 들어와 영일군(迎日郡)에 터를 잡았다고 한다. 유전의 첫째 아들 유견규는 거창군(居昌君)에 봉해져서 본관을 거창으로 했다고 한다.
배천 유씨(白川劉氏) 시조 유국추는 유전의 8세손으로 고려에서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를 지냈다고 하며,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추증되어 배천군(白川君)에 추봉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족보에 앞서 유석의 본관이 백주(白州)로 나타난다.[9]
강릉 유씨(江陵劉氏) 시조 유승비(劉承備)의 증손자인 유창은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개국공신에 책록되어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졌다.[10]
연안 유씨(延安劉氏) 시조 유극량은 과거에 응시할 수 없는 노비 출신이었으나, 홍섬의 배려로 노비 신분을 면제받고, 무과에 급제하였다. 1591년(선조 24) 전라좌수사가 되었고, 조방장(助防將)으로 전임되어 임진왜란 때 활약하였다.
한국에서 유(柳)씨는 하나라, 한나라, 그리고 조선 왕조까지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간다. 유(柳)씨 성을 가진 사람들은 자선과 근면함으로 명성이 높았다.
가장 큰 류(柳)씨는 유(柳)씨와는 다른 씨족이지만, 발음이 다르며 문하 류(文化 柳)씨[2]는 차달이라는 사람에 의해 창시되었다. 차달의 5대조 할아버지는 신라 왕을 전복하려는 시도에 연루되었다. 처벌을 피하기 위해 그 조상은 문화(文化)로 도망쳐 성을 바꾸었는데, 처음에는 외할머니의 성인 양(楊)씨로, 그 다음에는 류(柳)씨로 바꾸었다. 수년 후, 차달은 왕건을 도와 고려를 건국하는 것을 도왔다. 차달은 그의 지원으로 인정받아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았다. 그러나 차(車)씨가 차달과 동일한 시조에서 유래되었다는 역사적 주장은 입증되지 않았다. 문하 류(文化 柳)씨는 안동 권(安東 權)씨와 함께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씨족 족보 중 하나를 소유하고 있다. 한자 柳중국어는 일반적으로 "류"(류, 류한국어)로 발음된다. "류(柳)"라는 성은 버드나무를 의미하는 한자에서 유래되었다. 따라서 이 계통은 때때로 "버들 류씨"(버들 류씨한국어)라고 불리기도 한다.
3. 3. 주요 본관
유(劉)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302,782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30위이다. 본관은 충주, 강릉, 거창, 배천, 연안 등 47본이 전한다.《삼국사기》에 고구려 동천왕 시기에 위나라 관구검(毌丘儉) 침략했을 때 활약한 유옥구가 압록(鴨綠)을 식읍으로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7]
충주 유씨(忠州劉氏) 시조 유긍달의 딸이 고려 태조의 셋째 부인인 신명순성왕후가 되자 유긍달은 태사 내사령(太師 內史令)으로 추증되었다.[8]
거창 유씨(居昌劉氏) 시조 유전은 송나라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와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냈다고 한다. 『을묘보(乙卯譜)』 서문에는 유전이 한태조(漢太祖) 고황제(高皇帝)의 40세손으로 왕안석(王安石)에게 간언하다가 1082년(문종 36) 고려로 들어와 영일군(迎日郡)에 터를 잡았다고 한다. 유전의 첫째 아들 유견규가 거창군(居昌君)에 봉해져서 본관을 거창으로 했다고 한다.
배천 유씨(白川劉氏) 시조 유국추는 유전의 8세손으로 고려에서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를 지냈다고 하며,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추증되어 배천군(白川君)에 추봉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족보에 앞서 유석의 본관이 백주(白州)로 나타난다.[9]
강릉 유씨(江陵劉氏) 시조 유승비(劉承備)의 증손자인 유창이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개국공신에 책록되어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졌다.[10]
연안 유씨(延安劉氏) 시조 유극량은 과거에 응시할 수 없는 노비 출신이었으나, 홍섬의 배려로 노비 신분을 면제받고, 무과에 급제하였다. 1591년(선조 24) 전라좌수사가 되었고, 조방장(助防將)으로 전임되어 임진왜란 때 활약하였다.
3. 4. 현대 인물
유(劉)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302,782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30위이다.[7] 본관은 충주, 강릉, 거창, 배천, 연안 등 47본이 전해진다.고구려 동천왕 시기에 위나라 관구검(毌丘儉)이 침략했을 때 활약한 유옥구가 압록(鴨綠)을 식읍으로 받았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있다.[7]
- 충주 유씨(忠州劉氏) 시조 유긍달의 딸은 고려 태조의 셋째 부인인 신명순성왕후이다. 유긍달은 태사 내사령(太師 內史令)으로 추증되었다.[8]
- 거창 유씨(居昌劉氏) 시조 유전(劉荃)은 송나라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와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냈다고 한다. 유전의 첫째 아들 유견규가 거창군(居昌君)에 봉해져 본관을 거창으로 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유용주가 있다.
- 배천 유씨(白川劉氏) 시조 유국추는 유전(劉筌)의 8세손으로 고려에서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를 지냈다고 하며,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추증되어 배천군(白川君)에 추봉되었다고 한다.
- 강릉 유씨(江陵劉氏) 시조 유승비(劉承備)의 증손자인 유창은 1371년(고려 공민왕 20년)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개국공신에 책록되어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졌다.[10]
- 연안 유씨(延安劉氏) 시조 유극량은 노비 출신이었으나, 홍섬의 배려로 노비 신분을 면제받고 무과에 급제하였다. 1591년(선조 24) 전라좌수사가 되었고, 조방장(助防將)으로 전임되어 임진왜란 때 활약하였다.
다음은 현대의 주요 인물들이다.
- 유관순 (1902–1920), 한국 독립운동가.
- 유길준 (1856–1914), 한국 정치인.
- 일한 뉴 (1895–1971), 한국 독립운동가이자 기업가.
- 유근형 (1894–1993), 한국 도예가.
- 애런 유 (Aaron Yoo, 1979년 출생), 미국 배우.
- 유아라 (199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자 가수, 걸그룹 헬로비너스의 전 멤버.
- 유병재 (1988년 출생), 대한민국 방송인, 배우 및 작가.
- 유채영 (1973–2014), 대한민국 배우, 가수 및 라디오 진행자.
- 유찬욱 (예명 비오, 2000년 출생), 대한민국 래퍼이자 작곡가.
- 크리스틴 유 (Christine Yoo), 미국 작가, 감독, 프로듀서 및 영화 제작자.
- 유다인 (1984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동근 (195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은미 (2004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은숙, 대한민국 성우.
- 유건형 (1979년 출생), 대한민국 음반 프로듀서.
- 유하나 (198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해진 (197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해정 (200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희재 (1994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겸 배우.
- 유호정 (1969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회승 (1995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겸 뮤지컬 배우, 랩 록 밴드 엔플라잉의 멤버.
- 유혜리 (1964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현영 (1976년 출생), 대한민국 연예인.
- 유인나 (198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인수 (1998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인영 (1984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재하 (1962–1987), 대한민국 싱어송라이터.
- 유재석 (1972년 출생), 대한민국 코미디언, MC 및 방송인.
- 유정연 (1996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걸그룹 트와이스의 멤버.
- 유제원, 대한민국 텔레비전 드라마 연출가.
- 유제윤 (1984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모델 및 가수.
- 유지태 (197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영화 감독 및 작가.
- 유준상 (1969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겸 가수.
- 유정현 (1967년 출생), 대한민국 방송인 겸 정치인.
- 유기현 (1993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보이 밴드 몬스타엑스의 멤버.
- 유민규 (1987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나얼 (예명 나얼, 1978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 유세형 (199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세례 (1984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세윤 (1980년 출생), 대한민국 코미디언 및 텔레비전 코미디 쇼 진행자.
- 유선호 (2002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배우 및 모델.
- 유승호 (1993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승준 (1976년 출생), 대한민국 출생 미국 가수, 래퍼 및 배우.
- 유승우 (1997년 출생), 대한민국 음악가.
- 유승연 (예명 공승연, 1993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소영 (198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수빈 (199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우성은 (본명 유성은, 1989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 유연주 (예명 유아, 1995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걸그룹 오마이걸의 멤버.
- 유연정 (1999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걸그룹 우주소녀의 멤버.
- 유연미 (1999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연수 (예명 하연수, 199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영재 (1994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겸 배우, 보이 밴드 B.A.P의 멤버.
- 유영진 (1971년 출생), 대한민국 싱어송라이터 및 음반 프로듀서.
- 유희열 (1971년 출생), 대한민국 싱어송라이터.
- 크리스찬 유 (예명 DPR Ian, 1990년 출생), 호주 가수 겸 래퍼.
- 유지민 (예명 카리나, 2000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걸그룹 에스파의 멤버.
- 유오성 (196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류승범 (198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류승완 (1973년 출생), 대한민국 감독.
- 류덕환 (1987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류한비 (2004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류화영 (1993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및 가수, 걸그룹 티아라의 전 멤버.
- 류혜린 (1984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및 모델.
- 류혜영 (1991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및 모델.
- 류효영 (1993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모델 및 래퍼, 걸그룹 파이브돌스의 전 멤버.
- 류현경 (1983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류준열 (198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류경수 (199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류상구 (예명 딥플로우, 1984년 출생), 대한민국 래퍼 및 음악 프로듀서.
- 류세라 (1987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걸그룹 나인뮤지스의 전 멤버.
- 류승룡 (197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류승수 (1971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류시원 (197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및 가수.
- 류수영 (1979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류수정 (1997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걸그룹 러블리즈의 멤버.
- 류성민 (예명 씨잼, 1993년 출생), 대한민국 래퍼.
- 류태준 (1971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겸 가수.
- 류의현 (1999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영호 (1965년 출생), 대한민국 조각가.
- 유영국 (1916–2002), 대한민국 화가.
- 유에스더 (1994년 출생), 미국 바이올리니스트.
- 유스캇 (1971년 출생), 미국 지휘자 및 바이올리니스트.
- 유영욱 (1977년 출생), 대한민국 피아니스트.
- 유안진 (1941년 출생), 대한민국의 시인, 수필가, 대학교수.
- 데이비드 유 (1974년 출생), 미국의 작가.
- 유은실, 대한민국의 작가.
- 유현종, 대한민국의 소설가.
- 유자효 (194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방송인, 시인.
- 유재용 (1936–2009), 대한민국의 소설가.
- 유주현 (1921–1982), 대한민국의 소설가.
- 유미리 (1968년 출생), 재일 한국인 극작가, 소설가, 수필가.
- 유태은, 대한민국의 그림책 작가, 삽화가.
- 유영 (1917–2002), 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 번역가, 시인.
- 유병훈 (1972년 출생), 대한민국 장애인 선수.
- 유병옥 (1964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병수 (1988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채란 (1992년 출생), 대한민국 배드민턴 선수.
- 유창현 (1985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대현 (1990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대순 (1965년 출생), 대한민국 前 축구 선수.
- 대니얼 유(Daniel Yoo) (1985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前 테니스 선수.
- 유동관 (1963년 출생), 대한민국 前 축구 선수.
- 유동민 (1989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한준 (1981년 출생), 대한민국 前 외야수.
- 유희관 (1986년 출생), 대한민국 선발 투수.
- 유호준 (1985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홍열 (1983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혜민 (1981년 출생), 대한민국 알파인 스키 선수.
- 유혁근 (1944년 출생), 대한민국 조정 선수.
- 유형종 (1985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현 (1984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현구 (1983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현지 (1984년 출생), 대한민국 핸드볼 선수.
- 유재훈 (1984년 출생), 대한민국 前 프로 축구 선수.
- 제프 유(Jeff Yoo) (1978년 출생), 대한민국 前 축구 선수.
- 유진선 (1962년 출생), 대한민국 前 테니스 선수.
- 유지훈 (1988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지노 (1989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종현 (1988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준영 (1990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준수 (1988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정남 (1983년 출생), 대한민국 수영 선수.
- 유기흥 (1947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감독 및 前 선수.
- 유기홍 (1988년 출생), 대한민국 前 프로 사이클 선수.
- 유광준 (1932년 출생), 대한민국 前 축구 선수.
- 유경열 (1978년 출생), 대한민국 前 축구 선수.
- 유만기 (1988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미 (1986년 출생), 대한민국 前 테니스 선수.
- 유민현 (1994년 출생), 대한민국 컬링 선수.
- 유남규 (1968년 출생), 대한민국 前 탁구 선수.
- 유옥렬 (1973년 출생), 대한민국 前 체조 선수.
- 유상철 (1971–2021), 대한민국 축구 감독 및 선수.
- 유상희, 대한민국 前 여자 배드민턴 선수.
- 유상수 (1973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코치 및 은퇴 선수.
- 유수현 (1986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선희 (1967년 출생), 대한민국 여자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 유선영 (1986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골프 선수.
- 유성제 (1985년 출생),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골키퍼.
- 유성연 (1976년 출생), 대한민국 前 유도 선수.
- 유원철 (1984년 출생), 대한민국 체조 선수.
- 유원정, 대한민국 장애인 보치아 선수.
- 유원상 (1986년 출생), 대한민국 야구 선수.
- 유욱진 (1985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연성 (1986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배드민턴 선수.
- 유연승 (1991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용성 (1974년 출생), 대한민국 은퇴 배드민턴 선수.
- 유윤식 (1989년 출생), 대한민국 배구 선수.
- 유영(You Young) (2004년 출생), 대한민국 피겨 스케이터.
- 유영아 (1988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영주 (1971년 출생), 대한민국 前 농구 선수.
- 유영실 (1975년 출생), 대한민국 은퇴 축구 선수.
- 유재두 (1948년 출생), 대한민국 前 프로 복서.
- 류현진 (1987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야구 선수.
- 류재국 (1983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야구 투수.
- 류지혜 (1976년 출생), 대한민국 前 탁구 선수.
- 류승민 (1982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탁구 선수.
- 류승우 (1993년 출생), 대한민국 축구 선수.
- 유소연 (1990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골프 선수.
- 유창혁 (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 크리스토퍼 유 (2006년 출생), 미국의 체스 그랜드마스터.
- 류시훈 (1971년 출생), 재일 한국인 바둑 기사.
- 유재학 (1963년 출생), 대한민국 농구 코치.
- 유병언 (1941–2014), 대한민국의 기업인, 발명가, 사진작가.
- 유재훈, 대한민국의 기업인.
- 유창순 (1918–2010), 대한민국 정치인.
- 유은혜 (1962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 유일호 (1955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 유재건 (1937–2022), 대한민국 정치인.
- 유진룡 (1956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 유정복 (1957년 출생), 대한민국 공무원 및 정치인.
- 존 유(John Yoo) (1967년 출생), 한국계 미국 법학자, 전 정치인.
- 유정주 (1975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및 애니메이터.
- 유명희 (1967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 유남석 (1957년 출생), 전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재판관.
- 유상열 (1940–2022), 대한민국 공무원.
- 유승민 (1958년 출생), 대한민국 경제학자 및 정치인.
- 유송화 (1968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 유인촌 (1951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및 배우.
- 유시민 (1959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 다니엘 유(1962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퇴역 미국 해병대 소장.
- 유재이(1989년 출생), 대한민국 모델.
- 유예빈(1992년 출생), 대한민국 미인 대회 우승자.
- 유 크리스토퍼, 학자.
- 미셸 유, 뉴질랜드 학자.
- 리처드 유, 미국 기업가.
- 유룡(1955년 출생), 대한민국 과학자.
- 유상준, 탈북자.
- 유영철 (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연쇄 살인범, 성범죄자, 식인범.
4. 유(兪)씨
유(兪)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167,927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46위이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의하면 본관은 기계(杞溪)·강진(康津)·고령(高靈)·무안(務安)·인동(仁同)·창원(昌原)·천녕(川寧)·탐진(耽津) 등 98본으로 전한다.
기계 유씨(杞溪 兪氏)의 시조는 신라 6등급 아찬을 지낸 유삼재(兪三宰)이다. 후손 유의신(兪義臣)이 신라 멸망 후 고려 왕조에 불복하자, 태조 왕건이 그를 기계현(杞溪縣) 호장(戶長)으로 강등시킨 이후로 후손들이 기계를 본관으로 정하였다. 기계 유씨는 고려시대에는 관직에 오르지 못했으나,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90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39,073명이다.
무안 유씨(務安 兪氏) 시조 유순직(兪舜稷)은 고려 때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검교소부소감(檢校小府少監)을 역임하였다. 그의 증손 유천우(兪千遇)가 고려 고종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고려 원종 때 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를 지낼 때 김인준(金仁俊) 등과 함께 무신정권의 최의(崔誼)를 주살(誅殺)하는 데 공을 세워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내고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올랐다. 고려 충렬왕 때는 찬성사(贊成事)를 역임했다. 그가 죽은 후에 무안부원군(務安府院君)에 추봉되었다.[11] 2015년 인구는 5,896명이다.
강진 유씨(康津 兪氏)의 시조 유적(兪迪)은 강진(현 전라남도 강진군)에 살아온 사족(士族)의 후예로서 고려 말에 감문위(監門衛)로 도성 문을 경비하는 역할을 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1,589명이다.
인동 유씨(仁同 兪氏) 시조 유승단(兪升旦, 1168년 ~ 1232년)이 1190년(고려 명종(明宗) 20년) 문과에 급제하고 고려 고종조에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이르렀으며, 인동백(仁同伯)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1,448명이다.
4. 1. 개요
4. 2. 역사
'''유'''(兪)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167,927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46위이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의하면 본관은 기계(杞溪)·강진(康津)·고령(高靈)·무안(務安)·인동(仁同)·창원(昌原)·천녕(川寧)·탐진(耽津) 등 98본으로 전한다.기계 유씨(杞溪 兪氏)의 시조는 신라 6등급 아찬을 지낸 '''유삼재'''(兪三宰)이다. 후손 유의신(兪義臣)이 신라 멸망 후 고려 왕조에 불복하자, 태조 왕건이 그를 기계현(杞溪縣) 호장(戶長)으로 강등시킨 이후로 후손들이 기계를 본관으로 정하였다. 기계 유씨는 고려시대에는 관직에 오르지 못했으나,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90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39,073명이다.
무안 유씨(務安 兪氏) 시조 '''유순직'''(兪舜稷)은 고려 때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검교소부소감(檢校小府少監)을 역임하였다. 그의 증손 유천우(兪千遇)가 고려 고종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원종 때 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를 지낼 때 김인준(金仁俊) 등과 함께 무신정권의 최의(崔誼)를 주살(誅殺)하는 데 공을 세워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내고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올랐다. 충렬왕 때는 찬성사(贊成事)를 역임했다. 그가 죽은 후에 무안부원군(務安府院君)에 추봉되었다. 2015년 인구는 5,896명이다.
강진 유씨(康津 兪氏)의 시조 '''유적'''(兪迪)은 강진(현 전라남도 강진군)에 살아온 사족(士族)의 후예로서 고려 말에 감문위(監門衛)로 도성 문을 경비하는 역할을 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1,589명이다.
인동 유씨(仁同 兪氏) 시조 유승단(兪升旦, 1168년 ~ 1232년)이 1190년(고려 명종 20년) 문과에 급제하고 고종조에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이르렀으며, 인동백(仁同伯)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1,448명이다.
한국에서 유(柳)씨는 하나라, 한나라, 그리고 조선 왕조까지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간다. 유(柳)씨 성을 가진 사람들은 자선과 근면함으로 명성이 높았다.
가장 큰 류(柳)씨는 유(兪)씨와는 다른 씨족이지만, 발음이 다르며 문하 류씨는 차달(Ryoo Cha-dal)이라는 사람에 의해 창시되었다. 차달의 5대조 할아버지는 신라 왕을 전복하려는 시도에 연루되었다. 처벌을 피하기 위해 그 조상은 문화(文化)로 도망쳐 성을 바꾸었는데, 처음에는 외할머니의 성인 양(楊)씨로, 그 다음에는 류(柳)씨로 바꾸었다. 수년 후, 차달은 왕건을 도와 고려를 건국하는 것을 도왔다. 차달은 그의 지원으로 인정받아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았다. 그러나 차(車)씨가 류차달과 동일한 시조에서 유래되었다는 역사적 주장은 입증되지 않았다. 문하 류씨는 안동 권씨와 함께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씨족 족보 중 하나를 소유하고 있다. 한자 는 일반적으로 "류"(류, 류한국어)로 발음된다. (문하 류 참조) "류(柳)"라는 성은 버드나무를 의미하는 한자에서 유래되었다. 따라서 이 계통은 때때로 "버들 류씨"(버들 류씨한국어)라고 불리기도 한다.
4. 3. 주요 본관
'''유(兪)'''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167,927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46위이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의하면 본관은 기계(杞溪)·강진(康津)·고령(高靈)·무안(務安)·인동(仁同)·창원(昌原)·천녕(川寧)·탐진(耽津) 등 98본으로 전한다.기계 유씨(杞溪 兪氏)의 시조는 신라 6등급 아찬을 지낸 '''유삼재'''(兪三宰)이다. 후손 유의신(兪義臣)이 신라 멸망 후 고려 왕조에 불복하자, 고려 태조 왕건이 그를 기계현(杞溪縣) 호장(戶長)으로 강등시킨 이후로 후손들이 기계를 본관으로 정하였다. 기계 유씨는 고려시대에는 관직에 오르지 못했으나,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90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39,073명이다.
무안 유씨(務安 兪氏) 시조 '''유순직'''(兪舜稷)은 고려 때 삼중대광(三重大匡)으로 검교소부소감(檢校小府少監)을 역임하였다. 그의 증손 유천우(兪千遇)가 고려 고종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원종 때 지어사대사(知御史臺事)를 지낼 때 김인준(金仁俊) 등과 함께 무신정권의 최의(崔誼)를 주살(誅殺)하는 데 공을 세워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내고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올랐다. 충렬왕 때는 찬성사(贊成事)를 역임했다. 그가 죽은 후에 무안부원군(務安府院君)에 추봉되었다.[11] 2015년 인구는 5,896명이다.
강진 유씨(康津 兪氏)의 시조 '''유적'''(兪迪)은 강진(현 전라남도 강진군)에 살아온 사족(士族)의 후예로서 고려 말에 감문위(監門衛)로 도성 문을 경비하는 역할을 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1,589명이다.
인동 유씨(仁同 兪氏) 시조 유승단(兪升旦, 1168년 ~ 1232년)이 1190년(고려 명종(明宗) 20년) 문과에 급제하고 고종조에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이르렀으며, 인동백(仁同伯)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1,448명이다.
4. 4. 현대 인물
'''유'''(兪)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167,927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46위이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의하면 본관은 기계(杞溪)·강진(康津)·고령(高靈)·무안(務安)·인동(仁同)·창원(昌原)·천녕(川寧)·탐진(耽津) 등 98본으로 전한다.- '''기계 유씨'''(杞溪 兪氏)는 고려시대에는 관직에 오르지 못했으나,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90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39,073명이다.
- '''무안 유씨'''(務安 兪氏)는 2015년 인구는 5,896명이다.
- '''강진 유씨'''(康津 兪氏)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명을 배출하였다. 2000년 인구는 1,589명이다.
- 인동 유씨(仁同 兪氏)는 2015년 인구는 1,448명이다.
현대 인물로는 유길준, 일한 뉴, 유관순 등의 독립운동가와 유근형 같은 예술가, 유승호, 유재석, 유지태, 유인나, 류현진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있다. 유시민, 유승민, 유은혜 등 정치인들도 있다.
분야별로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독립운동가: 유길준(1856–1914), 일한 뉴(1895–1971), 유관순(1902–1920)
- 예술가: 유근형(1894–1993, 도예가), 유영호(1965년 출생, 조각가), 유영국(1916–2002, 화가)
- 배우: 유승호(1993년 출생), 유아라(1992년 출생), 유다인(1984년 출생), 유동근(1956년 출생), 유은미(2004년 출생), 유하나(1986년 출생), 유해진(1970년 출생), 유해정(2000년 출생), 유호정(1969년 출생), 유혜리(1964년 출생), 유인나(1982년 출생), 유인수(1998년 출생), 유인영(1984년 출생), 유지태(1976년 출생), 유준상(1969년 출생), 유민규(1987년 출생), 유소영(1986년 출생), 유수빈(1992년 출생), 하연수(1990년 출생), 공승연(1993년 출생), 유오성(1966년 출생)
- 방송인 및 연예인: 유병재(1988년 출생), 유채영(1973–2014), 유재석(1972년 출생), 현영(1976년 출생), 유정현(1967년 출생)
- 가수: 유아라(1992년 출생), 비오(2000년 출생), 유희재(1994년 출생), 유회승(1995년 출생), 정연(1996년 출생), 유제윤(1984년 출생), 유기현(1993년 출생), 나얼(1978년 출생), 유승우(1997년 출생), 우성은(1989년 출생), 유아(1995년 출생), 유연정(1999년 출생), 유영재(1994년 출생), 유희열(1971년 출생), DPR Ian(1990년 출생), 카리나(2000년 출생)
- 스포츠 선수: 류현진(1987년 출생, 야구), 유남규(1968년 출생, 탁구), 유상철(1971–2021, 축구), 유소연(1990년 출생, 골프), 유영(2004년 출생, 피겨 스케이팅) 외 다수
- 정치인: 유정현(1967년 출생), 유시민(1959년 출생), 유승민(1958년 출생), 유은혜(1962년 출생), 유일호(1955년 출생), 유재건(1937–2022), 유진룡(1956년 출생), 유정복(1957년 출생), 유정주(1975년 출생), 유명희(1967년 출생), 유남석(1957년 출생), 유송화(1968년 출생), 유인촌(1951년 출생)
- 기타: 유병언(1941–2014, 기업인), 유영철(1970년 출생, 범죄자) 외 다수
5. 유(庾)씨
유(庾)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3,868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101위이다. 본관은 평산, 무송 2본이다.
평산 유씨(平山 庾氏) 시조 유금필(庾黔弼)은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삼한통일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통합삼한익찬공신(三重大匡統合三韓翊贊公臣)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617명이다.
무송 유씨(茂松 庾氏) 중시조 유녹숭(庾祿崇)은 1103년(고려 숙종 8년)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올랐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명을 배출하였다.[12] 2015년 인구는 12,459명이다.
5. 1. 개요
5. 2. 역사
유(庾)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3,868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101위이다. 본관은 평산, 무송 2본이다.평산 유씨(平山 庾氏) 시조 유금필(庾黔弼)은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삼한통일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통합삼한익찬공신(三重大匡統合三韓翊贊公臣)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617명이다.
무송 유씨(茂松 庾氏) 중시조 유녹숭(庾祿崇)은 1103년(고려 숙종 8년)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올랐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명을 배출하였다.[12] 2015년 인구는 12,459명이다.
한국에서 유(柳)씨는 하나라, 한나라, 그리고 조선 왕조까지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간다. 유(柳)씨 성을 가진 사람들은 자선과 근면함으로 명성이 높았다.
가장 큰 류(柳)씨는 문하 류(文化 柳)씨[2]는 차달(Ryoo Cha-dal)이라는 사람에 의해 창시되었다. 차달의 5대조 할아버지는 신라 왕을 전복하려는 시도에 연루되었다. 처벌을 피하기 위해 그 조상은 문화(文化)로 도망쳐 성을 바꾸었는데, 처음에는 외할머니의 성인 양(楊)씨로, 그 다음에는 류(柳)씨로 바꾸었다. 수년 후, 차달은 왕건을 도와 고려를 건국하는 것을 도왔다. 차달은 그의 지원으로 인정받아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았다. 문하 류(Munhwa Ryoo)씨는 안동 권(安東 權)씨와 함께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씨족 족보 중 하나를 소유하고 있다. 한자 柳한국어는 일반적으로 "류"(류한국어)로 발음된다. "류(柳)"라는 성은 버드나무를 의미하는 한자에서 유래되었다. 따라서 이 계통은 때때로 "버들 류씨한국어"라고 불리기도 한다.
5. 3. 주요 본관
유(庾)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3,868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101위이다. 본관은 평산, 무송 2본이다.평산 유씨(平山 庾氏) 시조 유금필(庾黔弼)은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삼한통일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통합삼한익찬공신(三重大匡統合三韓翊贊公臣)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617명이다.
무송 유씨(茂松 庾氏) 중시조 유녹숭(庾祿崇)은 1103년(고려 숙종 8년)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올랐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명을 배출하였다.[12] 2015년 인구는 12,459명이다.
5. 4. 현대 인물
'''유'''(庾)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13,868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101위이다. 본관은 평산, 무송 2본이다.[12]- 유관순 (1902–1920), 한국 독립운동가
- 유길준 (1856–1914), 한국 정치인
- 유동근 (195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류승룡 (197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류시원 (197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및 가수
- 류승범 (198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류승완 (1973년 출생), 대한민국 감독
- 류준열 (198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류현진 (1987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야구 선수
- 유명희 (1967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 유민규 (1987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병재 (1988년 출생), 대한민국 방송인, 배우 및 작가
- 유상철 (1971–2021), 대한민국 축구 감독 및 선수
- 유선호 (2002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배우 및 모델
- 유소연 (1990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골프 선수
- 유승민 (1958년 출생), 대한민국 경제학자 및 정치인
- 유승호 (1993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시민 (1959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 유아라 (199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이자 가수, 걸그룹 헬로비너스의 전 멤버
- 유영(You Young) (2004년 출생), 대한민국 피겨 스케이터
- 유오성 (196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인나 (198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인촌 (1951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및 배우
- 유재석 (1972년 출생), 대한민국 코미디언, MC 및 방송인
- 유정복 (1957년 출생), 대한민국 공무원 및 정치인
- 유정연 (1996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걸그룹 트와이스의 멤버
- 유지태 (197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영화 감독 및 작가
- 유창혁 (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 유태준 (1971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겸 가수
- 유해진 (197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현경 (1983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혜리 (1964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호정 (1969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유회승 (1995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겸 뮤지컬 배우, 랩 록 밴드 엔플라잉의 멤버
- 유희열 (1971년 출생), 대한민국 싱어송라이터
- 일한 뉴 (1895–1971), 한국 독립운동가이자 기업가
- 유병언 (1941–2014), 대한민국의 기업인, 발명가, 사진작가
- 유남규 (1968년 출생), 대한민국 前 탁구 선수
- 유영철 (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연쇄 살인범, 성범죄자, 식인범
- 유은혜 (1962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 유재학 (1963년 출생), 대한민국 농구 코치
- 유정주 (1975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및 애니메이터
6. 발음 표기 문제와 사회적 인식
류(柳)씨는 본래 발음이 '류'이지만, 두음법칙을 적용한 '유'와 원음 '류'를 혼용하고 있다. 유(劉)씨도 본래 발음이 '류'이지만 대부분 두음법칙에 따라 '유'로 표기하고 있다. 유(兪)씨와 유(庾)씨는 두음법칙과 상관 없이 본래 발음이 '유'이다.[13][14] 류(柳)씨는 한글 표기를 할 때 원음 '류'와 두음법칙을 적용한 '유'를 선택할 수 있다. 2007년 8월 1일부터 류(柳)씨는 대한민국 공문서에서 '류'로도 쓸 수 있도록 허가되었다.[13][14]
6. 1. 류(柳)씨와 유(劉)씨의 두음법칙
류(柳)씨와 유(劉)씨는 본래 발음이 '류'이지만, 한글 표기 시 두음법칙을 적용한 '유'와 원음 '류'를 혼용하거나 대부분 '유'로 표기하고 있다.[13][14] 류(柳)씨의 경우, 대한민국의 공문서에서는 두음법칙에 따라 '유'로 표기해 왔으나, 2007년 8월 1일부터 '류'로도 쓸 수 있도록 허가하였다.[13][14] 반면 유(兪)씨와 유(庾)씨는 두음법칙과 상관 없이 본래 발음이 '유'이다.6. 2. 성씨 표기와 관련된 사회적 인식 변화
류(柳)씨는 본래 발음이 '류'이지만, 두음법칙을 적용한 '유'와 원음 '류'를 혼용하고 있다. 유(劉)씨도 본래 발음이 '류'이지만 대부분 두음법칙에 따라 '유'로 표기하고 있다. 유(兪)씨와 유(庾)씨는 두음법칙과 상관 없이 본래 발음이 '유'이다.[13][14] 류(柳)씨는 한글 표기를 할 때 원음 '류'와 두음법칙을 적용한 '유'를 선택할 수 있다. 2007년 8월 1일부터 류(柳)씨는 공문서에서 '류'로도 쓸 수 있도록 허가되었다.[13][14]7. 각주
참조
[1]
통계
KOSTAT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0
[2]
웹사이트
버들 유(류)씨 60여만명 최다… ‘삼한갑족’ 명성 이어와
https://www.segye.co[...]
Segye Ilbo
2024-01-08
[3]
역사
고려사 권93, 열전6
https://terms.naver.[...]
[4]
웹인용
류방헌 묘지명
http://gsm.nricp.go.[...]
[5]
웹인용
전주류씨 대종중
http://www.duryu-lib[...]
2015-11-27
[6]
역사
고려사 권88 열전 권제1 후비
http://db.history.go[...]
[7]
역사
삼국사기 열전 제5
http://db.history.go[...]
[8]
역사
《고려사》 권88 열전 권제1
http://db.history.go[...]
[9]
웹인용
유석 묘지명
http://gsm.nricp.go.[...]
[10]
역사기록
세종실록 14권, 세종 3년 12월 9일 무술 6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1]
뉴스
강진유씨, 고령유씨, 무안유씨
http://www.ggilbo.co[...]
ggilbo.com
[12]
한국학중앙연구원
무송 유씨
[13]
뉴스
"잃어버린 姓 되찾는다" 환영 일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
[14]
뉴스
성씨 ‘柳ㆍ羅ㆍ李’→`류ㆍ라ㆍ리'로 쓸 수 있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07-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